EDITOR'S NOTE
일년에 두번은 꼭 하게 되는 캠페인이지만 조스라운지의 2025년 여름 캠페인은 조금 특별했습니다. 영상과 함께 음악을 만들었고, 안국 쇼룸에서 작은 음감회까지 열었습니다. 이 과정을 기념하고 싶은 마음에 시작한 기록이 라운지톡 25화가 되었습니다.
함께한 A.R.E의 이야기, 그리고 여전히 남아있는 질문들도 함께 담았습니다. 음감회 영상과 함께 즐겨주세요 :)
Twice a year, we find ourselves preparing for a seasonal campaign—but the summer of 2025 felt a little different. This time, we created original music to accompany our video, and even hosted a small listening session at our Anguk showroom. What began as a simple wish to remember this process became Lounge Talk Vol. 25. We’ve included reflections from A.R.E., who joined us on this journey, as well as a few questions that still linger. We hope you enjoy it alongside the listening session video :)
|
|
|
A Summer Note in Quartet at JO'S LOUNGE Anguk |
|
|
‘a note on summer’ 캠페인은 장용헌–김현의 두 에디터가 운영하는 텍스트 기반 콘텐츠 스튜디오 A.R.E (All-Round Editors)와 함께했습니다.
‘a note on summer’ was created in collaboration with A.R.E (All-Round Editors), a text-based content studio run by editors Jang Yongheon and Kim Hyeoneui.
1 |
|
|
장용헌 에디터를 처음 만난 건 2017년 여름, 모노피스파(@monopispa)와 어반라이크 매거진의 협업 파자마를 준비하면서였는데요,
그 무렵 도시서점에서 마주한 에디터님은 언젠가 고향 온양에서 온천을 운영하고 싶다는 멋진 꿈을 들려주었던 얼굴이 유난히 하얀 분(웃음)으로 제 기억에 남아 있었습니다.
I first met Editor Jang Yongheon in the summer of 2017, while preparing a collaborative pajama project between MONOPISPA (@monopispa) and Urbanlike Magazine. At the time, I met him at DOSHI bookstore, where he told me about his dream of one day opening a hot spring in his hometown of Onyang.
|
|
|
그 뒤로 6년이 지나, 조스라운지의 HOME-WORK 캠페인을 준비하던 2023년 여름 다시 만난 용헌 에디터님은 독립해 스튜디오를 열고, 직장 동료였던 김현의 에디터와 가정을 이루어 세 마리의 반려묘와 함께 생활하고 있었습니다.
두 분과 대화를 나누며 서로 비슷하게 생각하는 게 많다고 느껴 언젠가 함께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커졌고, 생각보다 빠르게 기회가 닿았습니다.
Six years later, in the summer of 2023, we reunited while working on JO’S LOUNGE’s HOME–WORK campaign. By then, Jang Yongheon had launched his own studio, living with three beloved cats and sharing both life and work with former colleague and fellow editor Kim Hyeoneui, now his partner. As we talked, I realized how much we shared in perspective—and a quiet desire to someday work together started to grow. Thankfully, the opportunity came sooner than expected.
|
|
|
광화문에 위치한 A.R.E의 사무실에서 나눴던 시작 미팅에서 가장 오랜 시간 할애한 주제는 “제품을 보여주지 않고도 브랜드를 알릴 수 있을까?”였습니다.
The longest discussion we had during the kickoff meeting at A.R.E’s office in Gwanghwamun was this: “Can we communicate the brand without showing the product?”
2 |
|
|
크고 잘 알려진 브랜드라면 가능하겠지만, 우리에겐 좀 이른 것 아닐까 하는 불안이 있었는데, 두 분과의 대화를 거치며 “조스라운지가 추구하는 분위기와 방향성을 진정성 있게 보여줄 수 있다면, 쉽지 않더라도 한 번 해보고 싶다”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었습니다
If we were a larger or more well-known brand, it might have felt easier—but at the time, we weren’t sure if it was still too early for us. Through our conversation with the two editors, however, we arrived at a shared conclusion: If JO’S LOUNGE could sincerely convey the atmosphere and direction we value, then maybe it was worth trying—even if it wasn’t the easy route. |
|
|
지금 돌아보면 그 용기의 시작엔, “여행을 갈 때마다 한 벌의 파자마를 꼭 챙긴다”는 고객의 리뷰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 문장이 두 에디터를 만나 ‘낯선 곳에서 느끼는 익숙한 감각’이라는 주제의식으로 정리될 수 있었습니다.
이후로는 서로 좋아하는 것들을 공유하며 ‘얼마나 안 보여줄 수 있을까’, ‘영상을 끝까지 본 사람에게 어떤 감정이 남으면 좋을까’ 같은 세부 항목들까지 하나씩 조율해 나갔습니다.
Looking back, the first spark of that courage might have come from a customer review that read, “I always pack a pair of pajamas when I travel.” That single line stayed with us. When we shared it with the editors, it evolved into a thematic anchor: “A familiar feeling in an unfamiliar place.” From there, we began sharing the things we liked—small and personal references—and slowly shaped the campaign through questions like: “How little can we show?”, “What feeling do we want to leave with someone who watches the video all the way through?”
|
|
|
기획 단계에서는 캠페인을 기념하는 파자마를 만들자는 (지금 생각해보면 꽤 좋은) 아이디어도 있었지만, “이왕 안 보여주는 거, 끝까지 안 보여주자”는 마음으로(웃음) 노트와 연필을 캠페인 굿즈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잠옷을 입는 사람이라면, 노트와 연필을 아낄 것이다’라는 믿음도 결정에 힘을 보탰던 기억입니다.
During early planning, we even toyed with the (now we think, quite good) idea of creating a commemorative pair of pajamas for the campaign. But in the end, we decided to stay committed to our premise: “If we’re going to hide it, let’s go all the way.” (laughs) That’s how we came to choose a notebook and pencil as the campaign goods instead. We remembered thinking, “Anyone who wears pajamas probably cherishes notebooks and pencils too.” And that small belief helped tip the scale.
|
|
|
기획자의
시선으로 남긴
조스라운지의
여름 단상
(Written by A.R.E)
|
|
|
“제품이 보이지 않아도 된다고요? 정말로요?”
조스라운지 팀과의 킥오프 미팅에서 우리가 던졌던 질문입니다.
“You really don’t need to show the product? Are you sure?”
That was the question we asked during our kickoff meeting with the JO’S LOUNGE team.
3 |
|
|
제품 노출보다 브랜드의 감도와 방향성을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그들의 말이 놀라웠고, 동시에 진심으로 다가왔습니다. 브랜드 캠페인에서 제품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다는 건 분명 쉽지 않은 결정이니까요.
우리는 그 진심을 믿어보기로 했고, ‘낯선 곳에서 느끼는 익숙한 감각’이라는 테마 아래, 여행이라는 설정을 통해 조스라운지가 전하고자 하는 ‘쉼’의 정서를 자연스럽고 진정성 있게 담아내고자 했습니다.
Their belief—that communicating the brand’s tone and direction mattered more than exposing the product—was both surprising and genuinely persuasive. After all, choosing not to lead with the product in a brand campaign is no easy decision. But we decided to trust that conviction. Under the theme “a familiar feeling in an unfamiliar place,” we set out to convey the spirit of rest that JO’S LOUNGE holds dear—naturally and sincerely, through the lens of travel.
|
|
|
캠페인의 타이틀인 ‘a note on summer’는 여름이라는 계절 안에서 스쳐 지나가는 감각과 감정을 짧은 ‘기록(note)’의 형태로 담아보고 싶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습니다. 손으로 적는 노트, 악보 속의 음표, 그리고 마음에 남는 단상처럼 ‘note’라는 단어는 다양한 해석을 품고 있어, 하나의 단어로 콘텐츠를 유연하게 확장해 갈 수 있는 중심 키워드가 되었습니다.
The campaign title, “a note on summer,” began with the simple idea of capturing fleeting sensations and emotions of the season in the form of short notes. Whether interpreted as handwritten letters, musical notations, or quiet personal reflections, the word note carries a wide range of meanings. It became a central keyword that allowed the content to expand flexibly in multiple directions.
|
|
|
영상 속 인물이 손글씨로 감정을 기록하고, 그 흐름을 따라 실물 ‘노트’가 제작되었으며, 감정의 파편을 담은 또 하나의 ‘note’로서 오리지널 음악도 완성되었습니다. 이처럼 하나의 단어에서 출발한 기획은 영상, 음악, 오브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고, ‘note’라는 상징 아래 다양한 콘텐츠를 펼쳐나감으로써, 조스라운지가 생각하는 여름의 감도를 보다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전할 수 있었다고 느낍니다.
The character in the film writes by hand, prompting the creation of a physical notebook. An original song, composed as another note containing fragments of emotion, followed naturally. This single word organically connected the visuals, the music, and the object—enabling us to explore and express the feel of JO’S LOUNGE’s summer in a more layered, sensorial way.
|
|
|
이번 캠페인의 준비 과정에서 기억에 남는 순간들도 많았습니다. 특히 촬영 과정에서는 무엇보다 날씨가 중요했는데, 1차로 잡아둔 촬영일에 비 예보가 있어 많은 고민 끝에 과감히 촬영일을 연기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촬영일에는 맑고 화창한 날씨가 펼쳐져 도시에 담긴 아름다움을 온전히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There were many moments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that left a lasting impression. Weather was the most crucial factor during the shoot. With rain in the forecast on our originally planned shoot date, we made the difficult decision to postpone—and were rewarded with clear, radiant skies that allowed us to fully capture the beauty of the city. |
|
|
사전 답사 역시 특별한 기억으로 남아 있어요. '낯선 곳에서의 익숙한 편안함'이라는 캠페인 주제에 맞게 여행자의 시선으로 다양한 스팟을 영상에 담고 싶었는데요. 단순한 자연 풍경을 넘어, 그 지역의 매력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상업 공간을 찾는 데도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다행히 브랜드와 협의하여 발견한 멋진 공간들을 섭외할 수 있었고, 이 과정은 캠페인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The location scouting process also remains vivid in our memories. To reflect the campaign theme of “familiar comfort in unfamiliar places,” we wanted to portray the setting from a traveler’s point of view. Beyond scenic nature shots, we also worked to find commercial spaces that would authentically express the unique charm of each location. Thankfully, we were able to collaborate with brands and secure a range of beautiful venues that significantly elevated the campaign’s quality. |
|
|
음악 작업 역시 이 캠페인의 정서를 가장 섬세하게 전달하는 축이기에 아티스트와의 긴밀한 협업이 중요했죠. 트웰브사운즈프로젝트를 이끄는 동열님은 기획 의도에 정확히 부합하는 감성을 파악해 절묘하게 영상과 어우러지는 음악을 제작해 주셨어요. 그 결과물이 나왔을 때는 짜릿할 만큼 기분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Music was another pillar that delicately carried the emotional tone of the campaign, and our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artist was essential. Dongyoul of Twelve Sounds Project intuitively understood the feeling we were aiming for and composed music that blended seamlessly with the visuals. We still remember how electric it felt when we heard the final result—it gave us chills in the best way. |
|
|
spotify 혹은 Apple Music 등에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
|
|
무엇보다 이 프로젝트가 저희에게 의미 있는 이유는 참여한 모든 창작자가 각자의 자리에서 이 작업을 진심으로 즐기며 함께해주었기 때문입니다.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사람으로서, 그보다 더 큰 보람은 없을 것 같네요. 이 여름을 함께 보낸 시간은 분명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Above all, what made this project truly meaningful for us was the way every creator involved brought their full sincerity and joy to the process. As people who work in content—planning and producing—there’s no greater reward. And the time we spent with this summer… is something we’ll surely remember for a long time to come.
Written by A.R.E |
|
|
캠페인을 통해 가장 달성하고 싶었던 건, 여름이라는 계절에 느낄 수 있는 감각 중 저희가 아끼고 좋아하는 부분을 온전히 전달하는 것, 그리고 그 감각이 가능하다면 조스라운지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What we most hoped to achieve through this campaign was to fully convey the aspects of summer that we personally cherish—and, if possible, to have those feelings become naturally associated with JO’S LOUNGE.
4 |
|
|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욕심을 버리고, 그 목표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은 요소는 최대한 하지 않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처음에는 이왕 하는 거 이것도 해야 될 것 같고, 저것도 넣어야 할 것 같은 (당연한) 조바심이 있었는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두 가지만 남기다 보니 오히려 그 한두가지를 더 잘할 고민을 하게 되는 신기한 경험이었습니다. 그렇게 정한 캠페인의 두 가지 축은 영상과 음감회입니다.
That’s why, instead of doing more, we chose to do less. We let go of anything that didn’t directly serve that goal. At first, there was a natural sense of urgency—the feeling that if we were going to do this, we should do everything: add this, include that. But as we stripped things down to just one or two elements that truly mattered, we found ourselves thinking more deeply about how to do those few things really well. It was a surprising and rewarding experience. The two main pillars of the campaign became the film and the listening session.
|
|
|
영상을 잘 만들고 싶으니 Twelve Sounds Project와 함께 음악을 만들었고, 음악을 매개로 온-오프라인의 경험을 연결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서 4중주 음감회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음감회 역시 캠페인의 주제의식인 ‘낯선 곳에서 느끼는 익숙한 감각’을 공유해, 보사노바나 집시 재즈와 같이 계절에 어울리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세계여행이라는 테마로 소개했습니다.
We wanted the film to be as rich and layered as possible, so we collaborated with Twelve Sounds Project to create an original soundtrack. And from there, we started wondering: could we connect the online and offline experience through music? That question led to the planning of a string quartet listening session. We made sure that the event aligned with the campaign’s core theme—"a familiar feeling in an unfamiliar place"—by introducing a selection of music that matched the season, such as bossa nova and gypsy jazz. Framed as a kind of world tour through sound, the event invited guests to experience the emotional texture of summer in a new, yet comforting way.
|
|
|
10년 전, 프로젝트를 하던 중 업계 선배에게 배운 표현이 있습니다.
‘같은 메세지를 다른 방법으로 반복한다.’
About ten years ago, while working on a project, I heard a phrase from a senior in the industry that has stayed with me:
“Repeat the same message in different ways.”
5 |
|
|
좋아하고 지키고 싶은 본질적인 가치는 유지하되, 항상 해보지 않았던 방법을 탐험하고 게을러지지 말라는 뜻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후로 저에겐 일을 할 때 한번쯤 되돌아보고 용기를 얻거나 기준점을 세우도록 도와주는 지침이 되어준 문장이었는데, 어쩌면 조스라운지의 캠페인 역시 다른 방법으로 반복되는 하나의 이야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되돌아보면 이번 캠페인 역시 몇 번의 위기가 있었습니다. ‘아직 우리가 하기엔 이른 방법 아닐까, 조금 더 제품이 잘 보여야 하는 것 아닌가, 여름의 감상이 조스라운지와 정말 연결될 수 있을까’ 하는 고민들을 넘어 음감회에서 즐거워하는 손님들의 표정을 보았을 땐 그래도 잘 도착한 것 같다는 작은 확신이 들었습니다. 시간을 거쳐 쌓인 선택들이 그 브랜드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조스라운지는 나중에 되돌아보았을 때 어떤 선택을 남긴 브랜드가 되어있을지 궁금하기도 하고 기분 좋은 긴장감이 들기도 합니다.
I took it to mean that while the core values we love and want to protect should remain unchanged, we must never stop exploring new approaches—or grow complacent. Since then, that phrase has served as a kind of compass for me—something I return to when I need courage or clarity. And perhaps, in its own way, the JO’S LOUNGE campaign is yet another repetition of that same message, told differently.
Looking back, there were certainly moments of doubt. We asked ourselves: Is this approach too early for us? Shouldn’t the product be more visible? Can the feeling of summer really connect to JO’S LOUNGE? But when we saw the faces of guests enjoying the listening event, there was a quiet sense of reassurance—it felt like we had arrived where we needed to be. I believe it’s the accumulation of thoughtful choices over time that ultimately reveals a brand at its best. And now I find myself wondering: when we look back one day, what kind of choices will JO’S LOUNGE be remembered for? It’s a thought that brings both curiosity and a pleasant sense of tension. |
|
|
라운지톡 25화
'Behind the scene' 어떠셨나요?
라운지 톡은 멤버들의 피드백을 통해
완성되는 뉴스레터입니다.
이번 화에서 좋았던 점 혹은
아쉬운 점, 팀 조스라운지에게
하고픈 말까지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
How did you enjoy
'Behind the scene'?
Lounge Talk is shaped and refined
through your feedback.
We’d love to hear what you liked,
what you felt could be better, or anything else you’d like to share with
Team JO’S LOUNGE :)
|
|
|
EDITOR SB YOO | DESIGN JR KIM |
|
|
JO'S LOUNGEnews@joslounge.com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81길 8 (장안동) 영풍빌딩 2층 주식회사 진주(JINJOO) 02-442-9296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