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모두 휴가는 잘 다녀오셨나요. 오랜만에 출장기로 돌아온 라운지톡입니다. 조스라운지는 2025년 목표를 글로벌 스탠다드로 잡으면서 세계의 벽을 두 눈으로 보고 오자는 마음으로(웃음) LA를 다녀왔습니다.
작년에 코펜하겐을 갈 때는 매장 오픈이라는 확실한 단기 목표가 있었는데, 이번에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우리가 어떤 고민을 해야할 지를 알아 보고 싶어 떠난 출장이었습니다. 어떠한 답 보다는 스스로에게 하는 질문들에 가까운 화라 읽는 분들께 어떻게 전달될지 궁금합니다. 언제나처럼 편안한 마음으로 읽어주세요 :)
Hope everyone had a great break! Lounge Talk is back with a travel edition after a while. For 2025, JO’S LOUNGE set its sights on a global standard, and with the goal of experiencing the walls of the world firsthand, we headed to LA.
Last year, our Copenhagen trip had a clear short-term goal—opening a store—but this time, the journey was more open-ended. We wanted to explore, in a broader sense, the questions we should be asking ourselves. This edition reads more like a set of questions to ourselves than definitive answers, and I’m curious how it will come across to you. As always, take it in with a relaxed mind :)
|
|
|
01
크기보다 완성도 Craftmanship over scale
|
|
|
홀리호크 하우스는 반즈달(Barnsdall) 아트파크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주차장도 꽤 넓었고 무료주차라(웃음) 기분 좋게 시작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대중 교통이 잘 되어 있고 볼거리들도 모여 있어 걸어다니며 구경하는 게 익숙했는데, 미국에서는 땅이 넓어서인지 하나씩 차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Hollyhock House sits within Barnsdall Art Park. The parking lot is fairly spacious and free (a nice way to start the visit!). Back in Korea, I’m used to exploring sights on foot, thanks to efficient public transport and clusters of attractions, but in the U.S., the distances are larger, so it often means hopping from one spot to the next by car.
|
|
|
이곳의 첫인상은 ‘집’이라기보다 ‘박물관’에 가까웠다. 돌로 지어진 외벽, 큼직하게 나 있는 중정, 미로 같은 내부 구조가 이 집을 더 신비롭게 만들었다. 묘하게 섞인 동양적 요소들, 벽난로 장식 등 한눈에 매력적인 포인트도 있지만, 내겐 아주 작은 디테일들이 이 공간을 완성한 것처럼 느껴졌다.
At first glance, Hollyhock House felt more like a museum than a home. Its stone exterior, the large open courtyard, and the maze-like interior made the space feel mysterious. There are obviously eye-catching points—the subtly blended Eastern design elements, the unique fireplace—but for me, it was the tiny details that truly made the house feel complete. |
|
|
작년 코펜하겐 출장에서 경험했던 핀율 하우스나 아르네 야콥슨의 606호 처럼, 예상치 못한 곳에 난 창이 내부를 은은하게 밝힌다든지, 안일하게 공간을 나누지 않고 작은 단차를 주는 등 동선을 따라 걸으며 이 집을 경험하는 순간들이 특별하게 느껴졌다. 다시 사진을 보며 알게 된 건데, 기성품 보다 맞춤 제작된 가구들을 사용한 것도 몰입을 높여주는 장치였던 것 같다.
Much like the FINN JUHLS House or Arne Jacobsen’s Room 606 during last year’s Copenhagen trip, moments like a window placed unexpectedly to softly light the interior, or subtle changes in floor levels instead of conventional room divisions, made wandering through the house feel special. Looking back at the photos, I realized that using mostly custom-made furniture instead of ready-made pieces was another layer that heightened the immersive experience.
|
|
|
구경을 마치고 주차장으로 돌아가다 보니, 공원의 가로등마저 통일된 디테일을 따르고 있었다. ‘이정도는 해야 되는구나’ 싶어 웃음이 나왔다. 같은 날 방문한 ‘더 게티’에서 그 생각은 더 깊어졌다. 가까이서 볼 때는 고급스럽게 느껴졌던 돌 패널들이 한 발짝 떨어지니 오히려 전체적인 통일성 면에서 아쉽게 보였는데, 타협하지 않고 완성도를 끝까지 밀어붙였을 때만 얻을 수 있는 결과가 있다는 걸 새삼 생각하게 됐다.
On the way back to the parking lot, even the park’s lampposts followed the same design details—at which point I couldn’t help but smile, thinking, “So this is how far you go.” Visiting The Getty later that same day only reinforced the thought. Up close, the stone panels looked luxurious, but from a distance, the overall coherence seemed slightly lacking. It reminded me how much effort it takes to stick to an original vision, and how the results you get from uncompromising craftsmanship are truly unique.
|
|
|
홀리호크 하우스 Hollyhock House
미리 예약 필수. 주차는 아트파크 주차장에 무료로 할 수 있다. (주차장이 공원 입구에 하나, 홀리호크 하우스로 올라가면 있는 것까지 총 2개 있다.)
Reservation recommended. Free parking available at the park (there are two lots: one at the park entrance, another closer to the house).
|
더 게티 The Getty
예약할 수 있지만, 굳이 안해도 되는 것 같다. 관람료는 무료지만 주차비가 저렴하지 않은 편이다. (오후 3시 넘어 도착하면 약간 할인이 되었던 기억이다.)
Reservations possible but not necessary. Admission is free, though parking isn’t cheap (arriving after 3 PM offered a slight discount).
|
|
|
02
아날로그 커뮤니케이션 Analog Communication
|
|
|
카페나 매장 직원들이 먼저 이름을 물어보고 아주 작은 스몰토크라도 하는 모습을 어디에서나 자연스럽게 볼 수 있었다. 짧고 일시적인 관계라도 눈을 마주치며 다가가려는 태도로 느껴졌는데, 대문자 I로서 처음에는 조금 쑥스러웠지만 반복해서 경험하다 보니 나중에는 꽤 편안하게 느껴졌다.
BODE 매장은 다소 우범지대(?)처럼 느껴지는 거리에 있었는데, 그래서인지 외부 창은 모두 커튼으로 가려져 있었고, 벨을 눌러 안에서 문을 열어주면 들어갈 수 있는 방식이었다. 유리창에 손글씨로 써 둔 운영시간도 뭔가 깊은 의도가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웃음).
Everywhere we went, café and store staff would ask for your name and make even the smallest bit of small talk. Even in brief, temporary interactions, there was an effort to connect through eye contact, and as someone more introverted, I initially felt a bit shy. But after experiencing it repeatedly, it started to feel surprisingly natural.
The BODE store was located on a street that felt a little intimidating, so all the exterior windows were covered with curtains. You had to ring the bell, and someone would open the door from inside. The handwritten store hours on the glass also gave off a sense of intentional care (smile).
|
|
|
매장에서 무언가를 구매하면 이메일로 영수증이 도착하고, 머지 않아 응대를 맡아주었던 직원이 자신의 이름으로 새로운 소식을 전하는 메일을 보내주었다.
이미 통성명을 나눈 사이어서 그랬는지, 일방적인 광고가 아닌 매장 경험의 연속처럼 느껴졌다. 일을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가기 바빠 정성적인 요소들을 수치화하기 어렵다는 핑계로 미루게 되는데, 당연하게도 브랜드나 공간 역시 고객과의 인간적인 접촉이 중심이고, 시스템이나 기술은 그것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When we made a purchase, the receipt would arrive by email, and shortly after, the same staff member who had assisted us would send another email sharing news or updates in their own name.
Since we had already introduced ourselves, it felt less like a one-way advertisement and more like a continuation of the in-store experience. Working in a fast-paced environment, it’s easy to make excuses that qualitative elements are hard to measure and postpone attention to them. But this made me realize that human interaction is at the heart of any brand or space, and systems or technology exist only to support it.
|
|
|
커리지 베이글 Courage Bagles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맛있는 베이글. 주차가 좀 까다롭다. 추천 메뉴는 Hand Sliced Smoked Salmon, Run it thru the Garden, 그리고 정확한 이름은 잘 기억이 안나는데 캘리포니안 크런치도 맛있었다.
Possibly the most delicious bagels you can imagine. Parking is a bit tricky. Recommended menu items include the Hand Sliced Smoked Salmon, Run it thru the Garden, and the Californian Crunch (I can’t recall the exact name, but it was also great).
|
주차
Parking
LA는 차가 필수인 것 같다. 택시를 불러도 되지만, 가능하면 렌터카를 추천한다. 목적지 근처 주차 공간은 SpotAngels 라는 어플을 이용해 찾을 수 있다.
In LA, having a car seems essential. You could take a taxi, but a rental car is preferable. SpotAngels is a helpful app for finding parking near your destination.
|
|
|
03
로컬 로컬 로컬 Local Local Local
|
|
|
여행자의 입장에서 그곳에서만 만날 수 있는 공간이나 제품을 찾는 데 자연스레 시간을 쓰게 되었다. 예전에는 유명(글로벌) 브랜드의 매장이나 공간을 찾아다녔다면, 갈수록 크기가 작더라도, 완벽하지 않더라도 지역성을 짙게 보여주는 곳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From a traveler’s perspective, we naturally found ourselves spending more time exploring places or products that could only be found there. Whereas in the past we sought out well-known (global) brand stores or spaces, increasingly it was the smaller, imperfect spots—those that deeply reflected local character—that felt the most appealing.
|
|
|
지역성이라는 게 꼭 한 가지로 정의되는 건 아닌 것 같다. 일차적으로는 그곳에서 난 재료를 쓰는 것일 수도 있고, 그 도시의 역사를 대변하는 것일 수도, 혹은 단순히 ‘그 동네 사람’이 만든 가게일 수도 있다.
어떤 거리, 어떤 맥락 속에 놓였는가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오히려 명확히 규정하려고 할수록 멀어지는 개념처럼 느껴졌다. 결국 앞서 이야기한 '크기보다 완성도', '아날로그 커뮤니케이션'과도 맞닿아 있는 이야기일 것 같다.
Local character doesn’t seem to have just one definition. It could be using ingredients sourced from the area, representing the city’s history, or simply being a shop run by someone from the neighborhood.
It can also depend on the street, the surrounding context, or the moment. In fact, the more you try to pin it down, the more elusive it becomes. In the end, this ties closely to the ideas we touched on earlier: craftsmanship over scale and analogue communication.
|
|
|
에레혼 Erewhon
거의 유일하게 2번 이상 방문한 곳이 되었다. 유명한 스무디가 있는 비싼 마트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방문해보니 큐레이션, 접객 등 여러 면에서 리테일의 미래 같은 느낌이 들었다. 매장이 꽤 여러 군데 있어 동선에 맞게 방문해도 좋을 것 같다.
Almost the only place we visited more than once. Initially, it felt like an expensive grocery store with famous smoothies, but visiting it revealed a sense of the future of retail, from curation to service. With multiple locations, it’s easy to plan visits according to your route.
|
비스타 극장
Vista Theather
쿠엔틴 타란티노가 운영한다고 알려진 극장. 이번에는 시간이 맞지 않아 영화를 보진 못했지만 동네 영화관의 이상적인 모습처럼 느껴졌다.
Known to be run by Quentin Tarantino. We didn’t catch a film this time, but it felt like the ideal neighborhood cinema experience.
|
|
|
귀국 후 우연히 찾은 전시에서 출장 중의 경험이 하나로 정리되는 느낌을 받았다. 신세계백화점 본점 ‘더 헤리티지’에서 열린 ‘여름이 깃든 자리’라는 기획전이었는데, 공예인들의 작품을 재료와 과정까지 함께 보여주는 전시였다.
작품의 완성도는 물론이고, 무엇보다도 가장 날것의 재료들이 세밀한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아름다움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담백하게 보여주는 부분이 인상 깊었다. 나에겐 그 과정 속에 담긴 일종의 솔직한 모순이 큰 감동으로 다가왔던 것 같다.
After returning from the trip, I stumbled upon an exhibition that somehow tied together the experiences I had during LA. It was a special exhibition called “A Woven Summer” at The Heritage in Shinsegae Department Store, showcasing craftspeople’s works along with their materials and processes.
The quality of the pieces was impressive, of course, but what struck me most was how the rawest materials were transformed through meticulous processes into contemporary beauty. There was a kind of honest tension within that process that, for me, made it all the more moving.
|
|
|
출장 중 방문했던 더 로우(The Row) 매장에서도 비슷한 감상을 받았다. 아주 현대적인 마감의 주택 안에 앤티크와 빈티지를 아우르는 가구들이 놓여 있었는데, 이질감 없이 서로를 빛내주는 모습이었다.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가구나 공간이든, 브랜드든, 심지어 사람도 반대되는 요소가 함께할 때만 줄 수 있는 균형미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I felt something similar when visiting The Row store during the trip. In a sleek, modern-finished house, antique and vintage furniture was arranged in a way that highlighted each piece without creating dissonance.
It made me realize that whether it’s furniture, spaces, brands, or even people, true balance often comes from the coexistence of contrasting elements—something that isn’t easy to achieve.
|
|
|
더 로우 LA The Row LA
멜로즈에 있는 더 로우의 플래그십 매장. 새삼 제품에 엣지를 넣지 않는 용기가 대단해 보였다. 제품과 공간, 접객 모두 고급이지만 겸손한 지향성이 느껴졌다.
The flagship store on Melrose. I was struck by the courage of not trying to add unnecessary ‘edge’ to the products. The space, the merchandise, and the service all felt luxurious, yet humble.
|
[전시] 여름이 깃든 자리
[Exhibition] A Wooven Summer
전시도 보고 옆 찻집에서 8월까지 한정판매하는 복숭아 빙수도 드셔보시길. 더 헤리티지 공간 자체도 아주 멋지다. (전시는 9월 16일까지 이어진다고 한다.)
While at the exhibition, don’t miss the peach bingsu at the adjacent tea house, available only until August. The Heritage space itself is also quite remarkable. (The exhibition runs until September 16.)
|
|
|
05
억지 없는 모습 Outro
출장을 다녀온 지 열흘쯤 지났다. 그 사이 전시도 보고 잠깐 부산에도 다녀왔는데, 좋아하는 것들, 또다시 경험해 보고 싶은 것들을 생각해 보았을 때 떠오르는 공통점은 ‘억지 부리지 않는 것’이었다.
있는 그대로의 재료를 존중하고, 맥락을 살려 담백하게 드러내는 태도가 중요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뭔가 덧붙이려 애쓰기보다 가지고 있는 것의 기준을 높이고 스스로를 제대로 바라보는 일이 우선이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다.
출장을 떠날 때는 새로운 것들을 많이 보고 넥스트 스텝을 알아내겠다는 욕심이 컸었는데, 새삼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의 완성도를 높이는 게 넥스트 스텝이라는 반성 같은 결론을 얻었다.
It’s been about ten days since I got back from the trip. In that time, I checked out a few exhibitions and even took a short trip to Busan. Thinking about the things I loved and want to experience again, one thing stood out: not forcing it.
Giving materials the respect they deserve and letting them speak for themselves, without overdoing it, felt more meaningful. Instead of trying to add something extra, maybe it’s about raising the bar for what we already have and really seeing it clearly.
When I set out for the trip, I was eager to take in as much as possible and figure out the next steps. Looking back now, I realize that the next step might simply be making what I’m already doing even better.
|
|
|
라운지톡 26화
'Flight to LA' 어떠셨나요?
라운지 톡은 멤버들의 피드백을 통해
완성되는 뉴스레터입니다.
이번 화에서 좋았던 점 혹은
아쉬운 점, 팀 조스라운지에게
하고픈 말까지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
How did you enjoy
'Flight to LA'?
Lounge Talk is shaped and refined
through your feedback.
We’d love to hear what you liked,
what you felt could be better, or anything else you’d like to share with
Team JO’S LOUNGE :)
|
|
|
EDITOR SB YOO | DESIGN JR KIM |
|
|
JO'S LOUNGEnews@joslounge.com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81길 8 (장안동) 영풍빌딩 2층 주식회사 진주(JINJOO) 02-442-9296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