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두 달만의 라운지톡으로 인사드립니다. 다들 잘 지내셨나요.
라운지톡 28화는 지난 10월, DDP에서 진행했던 디자인페어에 대한 후일담을 담았습니다. 처음엔 10월 발행을 목표로 했지만, 조금 더 잘 써보겠다는 욕심으로 미루다 라운지톡을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한 달을 건너뛰게 되었습니다. 기다리셨던 구독자 분들께는 죄송한 마음입니다. 그만큼 솔직하게 과정을 담으려 노력했는데, 보시기에 어떤지 궁금합니다.
날이 갑자기 추워졌습니다. 이제 겨울이라고 해도 될 것 같은데, 모두 감기 조심하시고 12월에 2025 애뉴얼 리포트로 다시 인사드리겠습니다. 언제나처럼 편한 마음으로 읽어주세요 :-)
It’s been two months since our last Lounge Talk. We hope you’ve all been well.
For Issue No. 28, we wanted to share a quiet afterstory from the DDP Design Fair we participated in this October. We originally planned to publish this in October, but as we tried to write it with a bit more care, we ended up skipping a month for the first time since launching Lounge Talk. To those who were waiting, we sincerely apologize. We’ve tried to record the process as honestly as we could, and we’re curious how it will come across to you.
The weather has suddenly turned cold—it feels like winter already. Please take care not to catch a cold, and we’ll meet you again in December with our 2025 Annual Report. As always, we hope you enjoy reading this with ease. :-)
|
|
|
디자인페어에 대해 처음 제안을 받은 건 지난 6월쯤이었습니다. 24년에 안국과 정동에 두 곳의 쇼룸을 열고, 이제 단기적인 팝업을 할 일은 당분간 없지 않을까 싶었는데, 역시 이러한 예상은 거의 빗겨가는 것 같습니다(웃음).
처음에는 ‘매장이 있는데 굳이 단기적인 페어(팝업)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지만, 조스라운지 쇼룸 특성상 이미 저희를 알고 계신 분들이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으로 미루어, 오히려 저희를 모르는 분들과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참가를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We first received the proposal for the Design Fair around June. After opening our two showrooms—Anguk and Jeongdong—in 2024, we thought we wouldn’t be doing any short-term pop-ups for a while. But as always, our predictions tend to miss the mark (laugh).
At first, we questioned whether it made sense to join a temporary fair when we already had physical showrooms. But since our showrooms are mostly visited by people who already know us, we felt it might b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meet those who don’t. That thought ultimately led us to participate.
|
|
|
부스의 형태는 가로 3 * 세로 12m의 직사각형 모양이었습니다. 가로로 굉장히 긴 형태라 처음엔 한계처럼 느껴지기도 했는데, 오히려 이 조건에서만 할 수 있는 전시를 해보자는 생각으로 작업에 임했습니다.
Our booth was a long rectangle—3 meters by 12 meters. The extreme horizontal layout initially felt like a limitation, but soon we began to see it as an opportunity: a chance to create something that could only exist within such constraints. |
|
|
페어 참가가 결정될 즈음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JO’S TIMELINE 이라는 주제였습니다. 페어를 통해 (아마도) 조스라운지를 처음 접할 분들이 많다는 점에 더해, 2023년 겨울에 했던 JO’S TIMELINE 팝업에 대한 좋은 추억이 있어, ‘조의 연대기’라는 컨셉은 그대로 가져가되, 이전보다 확장된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다면 어떨까 하는 목표가 있었습니다.
시간의 흐름 자체가 주제이다 보니, 2023년 팝업을 위해 제작해 여전히 사무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목재 가구들의 변화된(아름답게 익은)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스튜디오 힌지 두 분과 함께 이야기 나누며 전시에 대해 구체화해 나갔습니다.
As soon as we agreed to join the fair, one theme came to mind: JO’S TIMELINE. Many visitors would likely be encountering JO’S LOUNGE for the first time, and we also had warm memories of the JO’S TIMELINE pop-up from winter 2023. So we decided to bring back the concept of “Jo’s Chronicle,” but in an expanded form.
Since the theme itself revolves around the passage of time, we wanted to show how the wooden furniture—originally made for the 2023 pop-up and still used in our office—had changed and aged beautifully. With our partners at Studio Hinge, we began to shape the exhibition around those elements.
|
|
|
팝업을 위해 제작했던 타임라인 테이블 (2023)
Timeline Table Crafted for the 2023 Pop-up
|
|
|
페어 관람객 동선을 고려한 첫 스케치
First Sketch Considering Visitor Flow at the Fair
|
|
|
디자인페어 3D 도면
3D Layout for the Design Fair
|
|
|
영감의 테이블 (2025)
Table of Inspirations (2025)
|
|
|
현장에서 특히 많은 분들께 사랑 받았던 영감의 테이블은, 조스라운지가 (머리 속에서) 일하는 과정을 보다 깊게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에 나오게 되었는데, 너무 개인적이지 않을까(투머치가 아닐까) 하는 고민으로, 오히려 준비한 것에서 많이 덜어냈던 기억입니다. 재료를 보여주는 방식이나 구성에 대해선 올 여름 신세계 헤리티지에서 보았던 <여름이 깃든 자리> 전시가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The “Table of Inspirations,” which many visitors loved at the event, came from our desire to reveal how JO’S LOUNGE thinks and works. But we also questioned whether displaying our internal process might feel too personal—or simply too much. So in the end, we removed more than we added. The way we presented materials and components was influenced by the exhibition The Place Where Summer Rests, which we saw at Shinsegae Heritage earlier this year.
|
|
|
<여름이 깃든 자리> 전시 (2025)
The Place Where Summer Rests Exhibition (2025)
|
|
|
'조의 연대기' 아래 숨겨두었던 저희의 두번째 주제는 ‘손’이었습니다. 저희가 하는 작업이 기계의 도움을 받더라도 거의 손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고, 구성원들이 직접 만들어 보는 걸 좋아하는 성향이 있어, 전시 준비과정에서도 러그나 블랭킷을 손으로 일일이 이어붙여 보기도 하고, 그와 관련된 기물들을 보여드리고자 했습니다.
A hidden theme beneath “Jo’s Chronicle” was the hand. Even with machinery involved, most of our work ultimately passes through someone’s hands. Since our team naturally gravitates toward making things ourselves, we intentionally incorporated handwork into the preparation—hand-stitching rugs and blankets, assembling pieces one by one, and displaying the tools and gestures behind them.
|
|
|
전시를 위해 제작한 패치워크 블랭킷과 러그
Patchwork Blanket and Rug Created for the Exhibition
|
|
|
작업요청서 (2000년대 초반)
Work Request Sheet (Early 2000s)
|
|
|
첫 목표가 ‘조스라운지를 모르는 분들과의 만남’이었기 때문에, 자연스레 주변 분들과 고객분들께는 따로 적극적인 홍보를 하지 않았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너무 용감한(웃음) 결정이었는데, 다행히 부스에 방문하신 분들 중 절반 정도는 저희를 알고 계신 분들이기도 했고, 처음 저희를 접하는 분들이 어떤 부분을 좋게 느끼고 어떤 부분을 궁금해 하는지 옆에서 듣고 느낄 수 있어 저희에겐 꼭 필요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Because our main goal was to meet people who didn’t know JO’S LOUNGE, we intentionally chose not to promote our participation to our customer community. Looking back, it was a rather bold decision (laugh). Thankfully, about half the visitors ended up being familiar faces, while the rest were new to the brand.
Hearing—firsthand—what those new visitors liked, wondered about, or questioned was a valuable experience for us. It became a quiet but meaningful moment of learning. |
|
|
하루 종일 서있는 건 생각보다 많은 체력을 요하는 일이었습니다. 중간중간 팀원들과 교대로 커피 휴식을 가지려고 노력했는데, 그래도 2-3일차를 넘어가니 발바닥의 감각이 점점 사라지는 느낌이었습니다(웃음).
3일차였나 4일차 아침에는 페어 단톡방에 저희 근처 부스에서 물이 새고 있다는 메시지가 올라와 속으로 ‘제발 제발’을 외치며 DDP로 달려갔던 기억도 납니다. 되돌아보면 역시 크고 작은 돌발 상황들이 많았는데, 팀원들과 서로 의지하며 하나씩 헤쳐나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아 그리고 저희 쇼룸에서는 보기 어려운(웃음) 거대한 인파를 본 것 역시 특별한 기억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Standing all day required more stamina than expected. We tried to take turns grabbing quick coffee breaks, but by day two or three, the feeling in the soles of our feet had nearly vanished (laugh).
On the morning of day three or four, a message popped up in the fair’s group chat saying that water was leaking from a booth near ours. I remember rushing to DDP while quietly repeating, “Please, not us…” Looking back, there were countless small incidents, but we worked through each one by relying on one another. And seeing a massive crowd—a sight rarely encountered in our showrooms (laugh)—became a memorable moment in itself. |
|
|
페어가 끝나고 벌써 한 달이 지났습니다. 오히려 시간이 지나니 기억이 더 또렷해지는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페어나 팝업, 어쩌면 브랜드의 최종 목표는 매출과 수익일 것입니다.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은 브랜드마다 다를 것 같은데, 저희는 조금 오래 걸리고 빙 돌아가더라도 더 좋은 제품을 만들고, 그 과정을 가능한 깊게 드러내는 방식을 선택한 것 같습니다.
이번 DDP 디자인 페어에서 저희를 처음 접한 분들께 조스라운지가 어떤 모습으로 보였을지 궁금한 마음이 큽니다. 혹시 해주고픈 말씀이 있으면 언제든 아래 링크를 통해 알려주세요(모두 읽고 있답니다). 다음 전시 혹은 팝업이 언제가 될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그 전까지 언제나처럼 저희의 이야기를 계속 쌓고 있겠습니다.
It’s already been a month since the fair ended. With a bit of time passing, some parts of the experience feel even clearer now.
Fairs and pop-ups, at their core, may ultimately aim for sales and growth. Every brand has its own way of pursuing that. For us, even if it means taking the longer, winding path, we choose to focus on making better products—and showing the process behind them as deeply as we can.
I’m especially curious how JO’S LOUNGE appeared to those who encountered us for the first time at DDP. If you have thoughts to share, please feel free to send them through the link below—we truly read everything. As for our next exhibition or pop-up, we don’t yet know when it will be. But until then, we’ll continue adding quietly to our story, just as we always have. |
|
|
SPECIAL THANKS TO.
전시 기획, 디자인 (Exhibition Planning & Design)
목재가구 제작 (Wooden Furniture Fabrication)
한결 (HANGYEOL)
부스 시공 (Booth Construction)
DY, HARE, SW, TAMI
& TEAM JO'S LOUNGE |
|
|
라운지톡 28화
'첫 페어를 마치며' 어떠셨나요?
라운지 톡은 멤버들의 피드백을 통해
완성되는 뉴스레터입니다.
이번 화에서 좋았던 점 혹은
아쉬운 점, 팀 조스라운지에게
하고픈 말까지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
How did you enjoy
'Exhibiting What’s Usually Unseen'?
Lounge Talk is shaped and refined
through your feedback.
We’d love to hear what you liked,
what you felt could be better, or anything else you’d like to share with
Team JO’S LOUNGE :)
|
|
|
EDITOR SB YOO | DESIGN JR KIM
* 라운지톡 28화는 김재량 디자이너의 마지막 라운지톡이었습니다.
재량님께 그동안 고생 많으셨다는 말씀 드리고 싶고,
새로운 팀 조스라운지와 함께하는 29화도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
|
|
|
JO'S LOUNGEnews@joslounge.com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81길 8 (장안동) 영풍빌딩 2층 주식회사 진주(JINJOO) 02-442-9296수신거부 Unsubscribe |
|
|
|
|